![](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42MnJ/btre33vLNjX/NOIIP2KgcEplFwBGBJ9Zp1/img.png)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를 선언할 때는 const 키워드를 사용합니다. 이렇게 객체에는 많은 정보를 담고 있는 데, 키와 밸류 값으로 이루어진 딕셔너리 형태입니다. const car = {type:"Fiat", model:"500", color:"white"}; const person = { firstName: "John", lastName: "Doe", age: 50, eyeColor: "blue" }; 자바스크립트 프로퍼티란, 객체 안에 선언된 키와 밸류로 이루어진 한 쌍을 의미합니다. 위의 person 객체를 예시로 한다면, 프로퍼티(속성)와 프로퍼티 값(속성 값)은 다음과 같습니다. 프로퍼티(속성) 프로퍼티 값(속성 값) firstName John lastName Doe age 50 eyeColor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a60Rc/btre5bNBFLX/qAvMlXbyruqtG1OwkeEmK0/img.png)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를 어떻게 선언하고, 알아둬야 할 부분이 무엇인지 살펴봅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 함수는 function 키워드를 사용해서 선언하게 됩니다. 아래의 함수에서 myFunction은 함수명, a와 b는 인자값(파라미터), 그리고 return a + b는 리턴값이 되게 됩니다. 중괄호 { } 안에서 함수 내용을 적어주면 됩니다. function myFunction(a, b) { return a + b; }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는, 함수를 한 번 정의하고 여러 번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코드 작업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함수 선언 시 주의점은, 함수 객체와 함수 결과를 혼동하지 말아야 한다는 점입니다. 아래의 예문에서 toCalculate는 number라는 파라미터를 받아서, 중..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bAwpcR/btre0cT1K4R/0c6jwVnjKiMTv5HBzc25e1/img.png)
자바스크립트에 할당되는 데이터의 타입으로는 여러 가지가 올 수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오게되는 데이터 타입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숫자 타입 2. 문자열 타입 3. 객체 타입 4. 배열 타입 let price = 100; let Name = "John"; let student = {Name:"John", Phone:"010-1111-1111"}; const cars = ["Saab", "Volvo", "BMW"]; 특히 데이터 타입 사이에 연산자를 사용할 경우 주의해야 합니다. 꼭 알고가셔야 할 사항은 숫자와 문자열을 더하게 되면, 숫자 또한 문자열로 취급된다는 사실입니다. 그리고, 자바스크립트에서는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표현식을 계산하기에, 그 결과에 주의해야 합니다. let home = 233 + "b..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dACFM/btreY3CVVP4/QJ4mKHv6XUK4Z5AyDUIkFk/img.png)
자바스크립트의 연산자를 총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산술 연산자 + 더하기 - 빼기 * 곱하기 ** 거듭제곱 / 나누기 % 몫 ++ 증감 -- 감소 산술 연산자 중에서 거듭제곱을 어떻게 사용하는지만 알아보겠습니다. x값의 2제곱을 원한다면, x ** 2 또는 pow메소드를 사용하여 pow(x, 2)로 표현하면 됩니다. let x = 5; let z = x ** 2; //결과값은 25가 됩니다. let x = 5; let z = Math.pow(x,2); //x값의 2제곱승을 하게 되므로, 결과는 동일하게 25입니다. 2. 할당 연산자 할당 연산자 예시 의미 = x = y x = y += x += y x = x + y -= x -= y x = x - y *= x *= y x = x * y /= x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dTh5mZ/btre4NTc34b/Uyutj0mMOqZhT81fkkCyQ1/img.png)
* 개인적인 감정이 이입되어 있습니다. * 분노 지수: ★★★★ 세종시에 위치한 직장 상사의 아파트에서 당시 45세의 국토연구원 여직원이 뇌출혈로 쓰러진 뒤 약 4시간 동안 차량에 방치돼 사망한 사건입니다. 왜 상사의 아파트에서 그녀가 뇌출혈로 쓰러졌는지, 또 차량에는 무려 4시간 동안 왜 방치돼어 있었는지 이해가 가지 않는 부분입니다. 일초라도 A씨를 응급실로 옮겨도 모자를 판에 그녀가 방치되어 목숨을 잃은 부분이 안타깝습니다. 숨진 여직원과 상사 사이에는 어떤 관계가 있었을까요? 사건은 2019년으로 거슬로 올라갑니다. 8월달의 무더운 여름날, 국토연구원 여직원 A씨의 남편은 퇴근 후 귀가하지 않은 아내를 기다립니다. 새벽이 넘어서까지 전화를 했지만 연락이 되질 않았다고 합니다. 아침7시가 되어서야 ..
![](http://i1.daumcdn.net/thumb/C148x148/?fname=https://blog.kakaocdn.net/dn/c3Ov0j/btreMu1TFGh/OZpgOrqWDhV3hNwzdEiky0/img.png)
* 개인적인 감정이 이입되어 있습니다. * 분노 지수: ★★★ 2015년 화성시의 한 외진마을에서 일어난 살인사건으로, 가해자는 김씨(사건 당시 59세)고, 피해자는 박씨(사건 당시 66세)였다. 가해자는 사체를 유기하기 위해서 정육점에서 고기 갈 때 쓰는 분쇄기(육절기)를 사용한 잔혹한 수법 때문에 세간이 경악한 엽기적인 사건입니다. 조금만 더 늦었다면 사건이 미제로 남을 뻔했으나, 실종사건에서 수사를 신속하고 철저하게 진행하여 다행히 가해자가 붙잡혔다. 피해자 박 노인은 5개월 전에 남편을 떠나보낸 과부로 당시 자택에서 혼자 살았고, 가해자 김 노인은 박 노인의 저택부지에 별채로 세들어 살던 사람이었다. 2015년 2월 4일(수), 박 노인이 교회에서 예배를 마치고 귀가하다가 실종되었다. 누가 박 노..
- Total
- Today
- Yesterday
- RecyclerView
- 애드뷰
- 리스트뷰
-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에러
- 인텐트
- 탭레이아웃
- 선형 레이아웃
- view binding
- 2019년 사건사고
- ToDo List 앱 만들기
- Bmi Calculator
- 안드로이드 어댑터
- lazy init
- tabLayout
- 대한민국 미제사건
- 안드로이드 프로젝트
- 2021년 사건사고
- 뷰 바인딩
- 메소드 오버라이딩
- 상대적 레이아웃
- notifyDataSetChanged
- findViewById
- 미제사건
- 리사이클러뷰
- 안드로이드 앱 만들기
- addView
- 자바스크립트 배열
- android adapter
- 2007년 사건사고
- bmi 계산기 만들기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